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8

기억이 사라지는 병 : 알츠하이머와 다른 기억 상실 질환의 차이 1. 우리는 왜 기억을 잃어버릴까?우리는 살아가면서 깜빡하는 순간을 종종 경험합니다. 중요한 약속을 잊어버리거나 방금 하려고 했던 말을 떠올리지 못할 때 우리는 “기억력이 예전 같지가 않다.”는 생각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런 현상이 단순한 건망증인지, 기억상실 질환의 초기 증상인지 구별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특히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과 같은 퇴행성 질환은 기억을 조금씩 사라지게 만들어 결국에는 자신이 누구인지조차 잊어버리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기억력을 잃는 질환은 알츠하이머병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치매(Dementia), 해마 손상, 뇌졸중, 코르사코프 증후군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기억이 사라질 수 있습니다. 우리는 어떤 경우를 건망증으로 보고, 어.. 2025. 2. 17.
다중인격장애와 기억 : 하나의 몸, 여러 개의 기억 1. 다중인격장애 한 사람 안에 존재하는 여러 개의 기억어떤 날은 커피를 좋아하다가 어떤 날은 커피를 전혀 못 마시는 사람이 있다고 생각해 볼까요? 혹은 어제까지만 해도 친했던 친구가 오늘 낯선 사람처럼 느껴진다면 어떨까요? 그것도 단순한 기분 변화가 아니라, 정말 기억이 완전히 사라지고, 다른 사람이 되어 있다면 말입니다. 이것이 바로 다중인격장애(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DID)를 가진 사람들이 경험하는 현실입니다. 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사람은 한 사람이지만, 마치 여러 개의 인격이 각기 다른 기억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처럼 행동합니다. 어떤 인격은 어린 시절의 기억을 완벽하게 간직하고 있지만, 또 다른 인격은 어린 시절을 전혀 기억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심지어는.. 2025. 2. 16.
인간과 동물의 기억 방식에 대한 비교 1. 인간과 동물의 기억의 차이우리는 사람들을 만나면 주로 과거의 경험을 이야기하고, 중요한 순간을 새롭게 만들어 가면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동물들은 어떤 기억을 가지고 있고, 어떻게 소통하며 지내고 있을까요? 드라마나 다큐에서 보면 개는 주인을 오랫동안 기억하고 있고, 코끼리는 몇 년이 지났음에도 친구를 알아본다고 합니다. 하지만, 모든 동물들이 이러한 기억력을 가지과 있는 것은 아닙니다. 동물에게 있어서 기억은 대부분 생존과 직결된 중요한 능력입니다. 철새는 매면 같은 경로를 기억하여 길을 이동해야 하고, 다람쥐는 도토리를 어디에 두었는지 기억해서 추운 겨울을 지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인간과 동물의 기억유형에 따른 차이는 무엇인지, 동물들의 기억능력은 어느 정도 되는 것인지 등을 알아보.. 2025. 2. 15.
데자뷔는 실제 기억일까? 뇌의 착각일까? 1.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하는 낯선 익숙함여러분은 처음 가본 장소에서 "어? 여기 와본 적이 있는 것 같은데?"라고 느껴본 적이 있나요? 혹은 친구들과 대화를 나누다가 "이 상황 똑같이 경험한 것 같은데?"라는 생각이 든 적이 있으신가요? 이러한 경험을 우리는 데자뷔(Deja Vu)라고 부릅니다. 프랑스어로 "이미 본 것"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로,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서 강한 친숙함을 느끼는 신기한 현상을 설명합니다. 데자뷔는 종종 우리가 경험하고 있지만 왜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데자뷔는 우리의 생활에서 금방 스쳐 지나가지만 어떤 사람들은 이를 전생에서 경험했던 장면이라 생각하기도 하고, 또 어떤 사람들은 뇌가 착각을 일으키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 2025. 2. 14.
기억은 전염될 수 있을까? 1. 우리는 왜 타인의 기억을 내 기억처럼 착각할까?사람들과 대화를 나누거나 다양한 정보를 듣다 보면 내가 경험하지 않은 일임에도 불구하고 내가 경험한 일인 것처럼 기억이 날 때가 있습니다. 이처럼 타인이 경험한 일이 마치 내가 경험한 일인 것처럼 착각하는 현상을 기억 전염(Memory Contagion)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착각과는 좀 다른데, 인간의 뇌가 정보를 저장하고 불러오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심리적 현상입니다. 우리는 왜 이러한 착각을 하게 되는 걸까요? 그리고 타인의 기억이 어떻게 내 기억처럼 변형될 수 있는 것일까요? 2. 기억이 전염되는 이유 – 우리의 뇌는 완벽하지 않다.우리 뇌는 사진처럼 정보를 정확하고 세밀하게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 기억을 저장합니다... 2025. 2. 13.
후각과 기억의 관계 : 특정한 냄새가 추억을 불러오는 이유 1. 왜 특정한 냄새를 맡으면 과거의 기억이 떠오를까?우리는 간혹 예상치 못한 순간에 과거의 기억이 떠오르기도 합니다. 길을 걷다가 맡은 빵 굽는 냄새가 어린 시절 할머니 댁에서 먹었던 빵을 떠올리게 하거나, 특정한 향수가 과거의 연인을 떠오르게 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후각은 다른 감각기관보다 기억을 더 강력하게 불러일으키는 역할을 합니다. 시각이나 청각도 기억을 자극할 수 있지만 후각이 특히 강력하게 기억을 불러일으키는 이유는 후각 신겨이 뇌의 기억을 담당하는 영역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후각과 기억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2. 후각과 뇌의 연결 – 감정과 기억을 자극하는 강력한 감각후각이 기억을 강력하게 자극하는 이유는 냄새를 감지하는 후각 신경(Olfactory N.. 2025. 2. 12.